[6월 월례강좌] 감자 육종 강의 요약본


6월 월례강좌 '감자 육종의 느린 길'에 많은 분들이 참석해주셨습니다.

 

유익하고 심도 있는 강의였습니다. 내용 정리해서 올려두었습니다. 놓치신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보셔요~!

 

7월 월례강좌 '토종씨앗과 함께하는 가을밭 준비 수업'도 많은 참석 부탁드려요~~!!

 

 


 

6월 월례강좌_감자 육종의 느린 길 강의 요약

 

6월 월례강좌 (감자 육종의 느린 길)

강사: 김완술

 

김완술 님 영상 “7년간 육종한 20종 감자 캐는 날”

https://youtu.be/S1r8R_cRgK0?feature=shared

 

 

감자란?

- 전 세계 식량작물 중 4위

 

- 원산지 : 남미 대륙 원산지

미국의 아리조나, 중서남부로 시작 멕시코, 볼리비아, 칠레, 페루, 아르헨티나에 걸쳐 감자의 원종 있음.

 

- 다양한 염색체 : 2배체(디플로이드), 3배체(트리플로이드), 4배체(테트라플로이트), 5배체(펜타플로이드), 6배체(헥사플로이드)

6배체는 야생감자에서만 존재

 

우리나라 날씨와 감자 : 감자는 낮에는 따갑고, 아침에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고, 습기를 좋아하지 않음. 우리나라는 5,6월 초중순은 자라기 좋음. 10월은 상당히 적온. 그렇지만 10월은 그 기간이 짧음. 이른 봄에는 서리, 6월 중순 이후 장마와 더운 기후 안 좋아함. 11월 이후 추워짐. 그래서 페루에 있는 감자보다는 종류가 다양하지 않음. 원산지보다 감자 키우기 좋은 환경은 아님. 남미나 페루를 빼고 나면은 유럽이나 아시아, 아프리카 등은 감자의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음. 그래서 안데스 지역의 고지대 감자보다는 칠레에서 재배되는 감자가 재배종으로 많이 퍼져있음.

 

“볼리비아에 가실 기회가 있다면, 다양한 감자 꼭 드셔보시길 바라요!”

 

- 감자 시험단지 : 페루의 안데스 고원지대에 있음. 현재는 그 고원지대조차도 날씨가 상당히 더워져서 더 높은 고지로 올라가고 있음.

 

- 스페인의 침략으로 1567년경 감자가 유럽으로 소개되었지만, 그 당시 유럽에서는 천대 받았음.

 

아일랜드 감자 대기근 : 아일리쉬 코블러라는 품종을 선호해서 집중적으로 키우다가 감자 잎마름병이 퍼져서 200만명 이상이 굶어 죽었음. 많은 사람들이 신대륙으로 이동. 다양한 감자를 키웠다면 좋았을 텐데.

 

- 우리나라 감자는 1824~25년 정도 백두산 쪽 청나라 사람들에 의해 퍼짐(함경도 쪽), 천주교 선교사들에 의해 전라북도 해안으로 퍼짐(서해안).

 

감자의 이름 : 중국 사람들은 감자를 마령서라고 불림. 3년 전 토종씨드림에서 수집했던 감자 중 순창에서 발견된 마랑선이라는 감자가 있었음. 아마 마령서라는 감자가 전래되어서 마랑선으로 불리지 않았을까 추측. 옛날 시골에서는 감자, 고구마를 다 감자라고 부르심. 감자는 하지 캔다고 해서 고구마와 구분하기 위해 하지감자로 불리웠음.

 

남작감자 : 수미감자 전 많이 재배하던 품종. 기온에 의해 남작감자 생산량이 줄어들어 신남작 품종이 나왔음. 구남작은 꽃은 약간 보라빛, 신남작은 꽃이 하얀색.

 

- 감자의 구조


감자의 복지 : 야생감자는 감자 복지에 붙어있는 감자가 한 곳에 모여 있는게 아니라 멀리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음. 복지는 땅 아래에 있으면 감자가 되지만, 땅 위로 올라오면 줄기가 됨. 그래서 복지가 땅 속에 있게 하기 위해 감자에 북을 줌. 북을 주면 생산량이 늘어남.

 

 

감자 바이러스 노출 : 영양체나 덩이줄기는 재배 과정 중 칼로 절단을 한다거나 땅 속 생장 중 바이러스에 노출이 됨.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고, 수확량이 떨어짐. 그래서 상업농에서는 씨감자를 사서 쓰는 방식을 선호함.

 

씨감자 생산하는 방법 : 싹을 따라 바이러스가 올라감. 싹의 성장 보다 바이러스 속도가 더 늦음. 그래서 감자의 생장점을 핀셋으로 따서 실험실에서 무균 배양함. 그럼 콩알 정도의 감자 종자가 생산됨. 이게 감자 원종. 이 원종을 가져다 고랭지 감자 생산단지로 가져가서 씨감자를 재배함.

 

재래종 감자의 장점은 50년 이상 키우면서 바이러스에 지속적으로 노출 되면서 생산량이 더 이상 내려갈 수 없는 하향안정화가 되어 있는 품종임.

 

개량종 감자는 대부분 열매가 맺지 않음.

 

열매를 맺지 않는 감자는 재배 중 감자꽃을 굳이 따주지 않아도 됨. 꽃을 따는 과정에서 상처가 나서 바이러스 감염이 될 확률이 있음.

 

감자가 은근히 추위에 강해서 자생종으로 올라 올 수 있게 한 두 포기 남겨두어도 괜찮음.

 

루서 버뱅크

https://ko.wikipedia.org/wiki/%EB%A3%A8%EC%84%9C_%EB%B2%84%EB%B1%85%ED%81%AC

 

- 러셋 버뱅크 감자 :https://en.wikipedia.org/wiki/Russet_Burbank

 

감자 열매와 감자 씨앗 : 열매에서 나온 씨앗 TPS(true potato seed), 진성종자. 열매를 따서 길게는 한 달 정도 놔두었다가 만졌을 때, 말랑말랑 해지면 갈라서 씨앗을 채취. 하루 이클 물 속에 두어 젤리 성분 없애기.

 

- 이듬해 씨앗 파종. 시간이 없으면 3,4년 냉장 보관.

 

부계, 모계의 감자를 선택하여 육종할 경우. 감자는 자가 수정 작물이기에 자가 수정 하면 안 되기에 꽃봉오리 상태의 꽃을 찾아서 수술을 제거하여 암술만 남겨 놓고 직접 수정하기.


꽃잎과 수술 제거하고 암술만 남겨둔 감자.

 

 

실내에서 상토를 이용해서 3월에 씨앗 심기. 너무 작게 키워지면 보관이 어려움. 싹이 좀 크면 좀 더 큰 화분에 옮기기. 서리 지나서 정식하기. 처음에 키워지는 감자는 작음

 

씨앗으로 키운 감자 다시 심기. 감자는 무, 배추와는 다르게 완성형으로 태어나기에 고정 과정은 생략 가능. 그러나 품종을 고르고 추르는 과정이 어려움. 수확량이 어떻게 되는지, 내병성이 어떻게 되는지, 맛이 어떻게 되는지, 만생종인지 조생종인지.. 이런 테스트를 거져야 합니다.

 

 

내용 정리 할때 참고 했던 자료

https://cafe.daum.net/yhyoon444/CEVJ/37

https://m.cafe.daum.net/yhyoon444/CEVJ/60